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인간관계의 기본 원리(원칙)

1. 배려: 내가 먼저 손을 내밀어라, 자신이 먼저 다가가라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사람은 먼저 다가가기보다 상대방이 다가오기를 기다린다. 한국 사람들은 더욱 그러하다. 만약 친구를 사귀고 싶다면 먼저 손을 내밀고 악수를 청하라. 용기있는자만이미 인을 얻고 먼저 다가서는 자만이 훌륭한 친구를 얻는다. 인간관계에서는 손해 보는 것이 궁극적으로 큰 이익이 되는 것이다.
2. 호인: 호감(好感)을 가져라, 모든 사람을 좋아하라
 사람들은 대개 자기를 좋아하는 사람을 좋아한다. 그리고 자기에게 관심을 보이는 사람에게 관심을 가진다. 호감과 관심을 받고 싶다면 먼저 상대방에게 호감과 관심을 가져라. 
3. 소통과 교호: 소통(疏通)하라, 쌍방향 의사소통을 하라
 인간관계는 커뮤니케이션 관계이며 커뮤니케이션은 통하는 것이다. 대화 중에 말, 생각, 감정이 진심으로 통해야 서로 통하는 사이가 된다. 공감하라! 상대방의 말을 집중하여 경청하고 상대방을 수용, 인정, 지지하라.
4. 덕담: 따뜻한 말을 하라, 따뜻한 가슴을 가져라
 상대방에게 힘과 용기를 주는 말을 하라. 상대방에게 기쁨과 즐거움을 주는 말을 하라. 사랑과 애정이 담긴 말로 상대방의 마음을 따뜻하게 하라. 항상 험담이 아닌 덕담을 하여야 한다. 
5. 관용: 상대방에게 상처를 주지 마라, ‘설화(舌禍)’를 조심하라
 상대방을 비판, 비난하지 마라. 상대방에게 책임과 잘못을 전가하지 마라. 상대방의 감정과 자존심에 상처를 주지 마라. 특히 말 상처는 상대방에게 큰 아픔을 주고 인간관계를 해치는 실마리가 되기 쉽기 때문에 항상 조심하여야 한다. 늘 타인에게 관용을 베풀고 묵묵히 최선을 다하여야 한다.
6. 진솔: 속을 보여줘라, 늘 진실하고 진솔하라
 우리 속담에 ‘열 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고 했다. 모르면 이해할 수 없고 이해할 수 없으면 친해지지 않는다. 솔직하게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고, 있는 그대로의 속을 보여 줘라. 때로는 비밀도 공유하라.
7. 미소: 자신이 많이 웃고 상대방을 많이 웃겨라, 맑고 밝은 마음으로 웃어라
 사람들은 잘 웃는 사람을 좋아한다. 사람들은 잘 웃기는 사람을 좋아한다. 사람들은 밝고 유쾌한 사람을 좋아하니 자주 웃고, 자주 웃겨라. 웃음은 만복의 근원이다.
8. 관대와 엄격: 상대방을 배려(配慮)하고 챙겨줘라, 타인에게 관대하고 자신에게 엄격하라. 상대방의 일을 내 일처럼 생각하라. 상대방의 애경사를 내 애경사처럼 생각하라. 

 상대방에게 필요 한 일, 도움이 되는 일을 미리미리 잘 챙겨줘라.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는 말처럼 모든 이에게 자부심과 의욕, 그리고 감사함을 일깨워 준다.
9. 인내: 참고(忍耐) 이해하고 용서하라, 늘 인내와 관용하여라
 인간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참는 것이다. 인간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참고 이해하는 것이다. 인간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참고 이해하고 용서하는 것이다. 
10. 시혜와 겸허: 먼저 등 돌리지 마라, 늘 손해 보고 겸손하라
 쉽게 친해지지 않는다고 먼저 등 돌려지지 말라. 별 볼 일 없다고 먼저 등 돌리지 말라. 섭섭하다고 먼저 등 돌리지 말라. 한번 맺은 인연을 소중히 하고 절대로 먼저 등 돌리지 말라. 항상 겸허한 자세로 타인들에게 베풀어라.

 

 인간관계는 인간 사이의 관계 형성과 유지이다. 인간관계는 사람과 사람 간의 상호작용이다. “어떻게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잘할 수 있는가?” 나도 좋고 너도 좋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기법을 중심에 두고 실생활에서의 문제들을 다루는 것이 바로 인간관계이며, 이러한 사실이나 현상을 분석, 해석하여 바람직한 인간관계를 연구하려는 학문적 영역이 인간관계론이다. 결국 인간관계론은 인간 행동에 관한 학문으로서 인간을 주체로 한 인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실천적 학문이라 할 수 있다. 인간관계론이 이론보다 실제 및 실천에 중점을 두어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간관계는 인간 사이의 관계 형성과 유지이다. 인간관계는 사람과 사람 간의 상호작용이다. “어떻게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잘할 수 있는가?” 나도 좋고 너도 좋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기법을 중심에 두고 실생활에서의 문제들을 다루는 것이 바로 인간관계이며, 이러한 사실이나 현상을 분석, 해석하여 바람직한 인간관계를 연구하려는 학문적 영역이 인간관계론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따라서 사람은 혼자서는 살 수 없다. 설령 혼자서 사는 사람이 있다고 해도 그런 삶은 별로 가치와 의미를 부여할 수 없는 것이다. 인간의 삶은 다른 사람과의 상호 작용과 영향을 주고받는 어우러져 사는 삶이 가치 있고 보람찬 것이다.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끊임없는 관계 속에서 살아간다. 인간은 사회적 존재, 관계의 동물이다.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수많은 관계를 경험하게 된다. 기쁨과 분노, 즐거움과 슬픔, 행복과 불행, 즉 인간사(人間事)의 중요 한 문제들은 대부분 인간관계에서 비롯된다. 인간의 희로애락인 인생사 모두가 인간관계이다. 인간의 삶은 다른 사람과의 상호 작용과 영향을 주고받는 어우러져 사는 삶이 가치 있고 보람찬 것이다.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끊임없는 관계 속에서 살아간다. 인간은 사회적 존재, 관계의 동물이다.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수많은 관계를 경험하게 된다.

 

[참고 자료: 도서 읽을거리 ]
1. 생텍쥐페리 지음
비행사인 나는 사막에 불시착한 후, 이상한 소년을 만나 양(羊)을 그려 달라는 부탁받는다. 그 소년은 애인인 장미꽃을 자기가 사는 별에 남겼고 여행길에 오른 왕자로서 몇몇 별을 순례한 후에 지구에 온 것이다. 외로운 왕자에게 한 마리의 여우가 나타나서, 본질적인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 는 것, 또 한다는 존재를 길들여 좋은 관계를 맺어두는 일이 중요하다는 것을가르친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관계와 자아 탐구(자아정체성)  (0) 2023.03.17
인간관계 유형(모형)의 특징  (0) 2023.03.17
인간관계론의 개관  (0) 2023.03.17
심리학에 있는 글  (0) 2023.03.16
인간관계론과 자아의 관계  (0) 2023.03.16